Skip to content

서편제 후기

by 2013260136정보경 posted Nov 07,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013260136 정보경


  영화에서 중심이 되는 인물은 유봉, 동호, 송화이다. 자신이 듣고 싶은 소리를 듣기위해 딸처럼 키운 송화의 눈을 멀게 한 유봉은 비정한 사람처럼 느껴진다. 서양의 음악이 들리자 소리에 재능을 보이지 않는 아들이 떠났을 때 눈 하나 깜빡 하지 않고 송화의 소리에만 신경을 쏟은 사람이다. 또한 죽기 전까지 ‘한’타령만 하며 지극히 소리꾼의 면모만 보여주고 있다. 이 모습은 ‘저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나...’ 하며 불편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서양의 음악에 굴하지 않고 판소리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유봉의 모습은 현재 우리의 소리를 잊고 빠른 비트에 익숙해진 나를 반성하게 만들었다. 그가 한 행동은 다분히 극단적이었지만 소리를 사랑하는 마음만큼은 진심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동호가 그 당시 그리고 현재 우리의 모습과 닮아있다고 생각한다. 동호는 판소리에 커다란 미련이 없는 인물이다. 어려서부터 들어왔고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함께 생활하며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이 북이라서 친 것이지 판소리를 아끼거나 공부하고자 모습은 비춰지지 않는다. 이는 판소리라는 것이 무엇인지만 알지, 자세히 알려고 하지 않는 우리의 모습과 닮아있다. 이런 인물이 후에는 누나를 찾으러 다닌다. 어렸을 때 헤어진 누나를 찾는 것이 왠지 서양 음악에 익숙해진 우리지만 결국엔 다시 판소리를 찾길 바라는 하나의 메신저처럼 느껴졌다.

  눈이 멀기 전까지의 송화는 답답하기만 했다. 술을 따르라고 해서 따랐고 마시라고 해서 마셨다. 이에 유봉은 그녀의 뺨을 때렸다. 또한 밤을 새워가면서 소리를 연습시키는 등 아버지로서의 면모는 보이지 않는데 소리를 할 때 좋다면서 송화는 웃는다. 그러나 동생을 잃고 눈이 먼 후 송화는 달라졌다. 오로지 소리만 생각하며 연습하고 또 연습한다. 나는 이 모습이 아버지를 용서한 것이 아니라 아버지를 버리고 스승님을 얻은 것처럼 느껴졌다. 유봉을 소리 선생님으로 생각하며 배우고 발전하는 송화는 아버지와 동생 사이에서 가만히 있던 소녀가 아니었다. 명창으로 가는 길을 걷고 있었다. 그리고 그녀는 스승님의 유언대로 한을 넘어서는 소리를 하기 위해 한을 쌓고 있는 중이었다.


  서로 다른 세사람이 고개를 넘으며 아리랑을 부른 순간은 아름다웠다. 가난도 생각하지 않고 서양음악에 묻힌 현실도 잊혀질 만큼 그 들의 자유로움은 보는 동안 미소가 떠나지 않게 만들었다. 그리고 판소리를 제대로 들어보지 못한 나는 처음으로 ‘판소리가 정말 좋은 음악이구나’ 라고 생각하였다. 서편제는 멀어져만 가는, 소위 죽음 음악이라고 불리는 판소리에 대한 환기와 현재 우리를 돌아보게 만드는 좋은 영화이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5.00MB
파일 크기 제한 : 5.00MB (허용 확장자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발제 3]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최종) 1 하늘지기 2014.12.06 501
공지 [발제 2] 우정우 용 추가 논문 하늘지기 2014.11.30 695
공지 [발제 2]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추가될 예정임) 2 하늘지기 2014.11.30 447
공지 허접 발제문 [판소리사의 전개] 하늘지기 2014.11.26 443
공지 [발제] 대상 논문 및 발제자 하늘지기 2014.10.10 576
공지 [읽기 자료] 김현감호 하늘지기 2014.09.14 829
공지 독서 후기 올리는 방법 하늘지기 2014.09.14 690
공지 [읽기 자료] 최치원 (자료를 교체했습니다) 2 하늘지기 2014.09.13 1012
공지 [읽기 자료] 조신 하늘지기 2014.09.13 601
공지 [읽기 자료] 금오신화 국역 4 하늘지기 2002.05.13 4909
» 서편제 후기 2013260136정보경 2014.11.07 190
71 서편제 리뷰 2011260049 우정우 2011260049우정우 2014.10.31 176
70 서동요의 해석과 해독의 관점 발표문입니다. 유영찬 2012.11.20 2641
69 서대석 선생님 논문 1 하늘지기 2012.11.14 2421
68 발제 대상 논문 목록 (분담 및 일정) 36 하늘지기 2012.09.09 3065
67 미리 읽기 / 개별 발표 하늘지기 2013.09.16 739
66 무신란이 문학사에 끼친 영향 미현 2012.11.21 2948
65 몽유록의 장르 규정 문제 발표문입니다 정휴상 2012.12.06 1164
64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 후기입니다. 장우호 2014.09.15 506
63 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 후기 김은희 2014.09.14 424
62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_ 유수원 수원 2014.09.14 255
61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2012260004 김혜리 김혜리 2014.09.15 249
60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 2013260136 정보경 13정보경 2014.09.14 219
59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김조은 2014.09.14 264
58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10김수영 2014.09.14 376
57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독서후기 12이혜원 2014.09.15 377
56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신다영 2014.09.15 463
55 김시습의 문학사적 위상 발표문입니다 김승우 2012.11.29 3406
54 기말시험 출제 범위 하늘지기 2013.12.18 4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Gogong.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