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편제 후기

by 11 김은희 posted Nov 01,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편제라는 영화가 유명한 것은 알고 있었지만 딱히 접할 기회가 없었다. 굳이 찾아서 보려고 하지도 않았지만. 옛날 영화를 썩 좋아하지 않는 탓에 영화가 시작하기 전에 아 지루하겠다 재미없겠다 라는 생각부터 들었다. 그런데 스스로도 놀라울 정도로 집중을 해서 보았고,  중간중간 눈시울이 뜨거워지기도 할 정도로 상상 이상의 감동을 받았다.

 사실 이전에 이 영화에 대해서는 아버지가 소리를 위해 딸의 눈을 멀게 했다는 정도만 알고 있었다. 아무리 소리가 중요할지언정 딸의 눈을 멀게 하는 아버지라니 미친게 아닌가. 그런데 이상하게도 영화를 보고 나서는 유봉이 송화의 눈을 멀게 만든 것을 머리로는 아니더라도 마음으로는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한평생 소리만을 위해 살았고, 그 소리에 미쳐서 살았지만 소리에 대한 꿈(소리로 성공하는 것)을 이루지 못한 채 떠돌이 소리꾼으로 사는 유봉에게 송화는 한 줄기 희망이 아니었을까. 소리에 소질이 있고 예쁘게 잘하기도 하지만 소리에 한이 없는 송화가 못마땅했고 마침 동호까지 떠나버리자, 송화도 떠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과 송화의 소리에 한을 불어 넣어주고 싶다는 욕심이 유봉을 그렇게 만들었을 것이다. 유봉보다는 송화의 마음을 더 이해하기 힘들다고 생각했다. 친아버지도 아닌, 물론 거두어 키워준 아버지이지만, 유봉이 자신의 욕심으로 송화의 눈을 멀게 만들었는데도 그것을 알면서도 아버지를 떠나지 않고, 곁에 남아 있는 송화의 마음은 어땠을까.  유봉의 3년상을 다 치루고 떠난 것을 보면 눈이 안보여 못 떠났던 것도 아니였을 것인데.

 의도된 연출인지는 모르겠지만, 영화를 보는 동안 점점 송화의 소리가 발전하는 것이 느껴졌다. 어른이 된 송화가 처음 부른 소리는 그렇게 썩 잘하는것 처럼 들리지 않았는데, 마지막 장면에서 동호와 재회하여 동호는 북을 치고 송화는 노래를 할 때에는 유봉이 그렇게 원하던 '한'이 서려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서양 음악의 인기에 뒤쳐져 점점 설 곳을 잃은 판소리와 유봉, 송화, 동호의 모습도 인상 깊었다. 지금도 당연하게 음악 시장은 서양음악 위주로 돌아가고 있고, 나 역시도 판소리는 수업시간이 아니면 듣지 않는다. 아무도 듣지 않고, 하지 않으면 당연히 판소리는 사라질 것이다. 판소리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판소리가 사라진다고 생각하면 슬플것같다. 마지막 순간까지도 소리를 지키던 유봉을 보니 새삼스럽게 판소리를 비롯해 전통문화가 유지되도록 노력하시는 분들께 감사한 마음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