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최치원> 후기

by 12이혜원 posted Sep 2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최치원>은 '최치원'이라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 이야기가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이 아님을 알면서도 '그'라면 이런 일을 경험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이런 이유에서 이 이야기의 주인공을 최치원으로 설정한 것이 아닌가 한다. 최치원은 당시 대중들 사이에서 능력이 뛰어나나 신분적 한계로 꿈을 자유롭게 펴지 못한 불우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었을 것이다. 그렇기에 이 이야기를 접하는 사람들로부터 최치원이라면 이런 일을 겪지 않았을까하는 개연성을 획득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이런 그를 이야기로 만들어 그의 이름을 전하고자 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렇다면 <최치원>과 <금오신화>의 차이는 무엇일까? <최치원>은 설화이며, <금오신화>는 소설이라는 장르적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최치원> 이야기에 등장하는 '쌍녀분'은 오늘날 중국의 가오춘현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으므로, 증거물이 있는 전설인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소설이 설화를 바탕으로 발생했으므로 이 둘의 경계가 뚜렷하지는 않지만, 그 차이는 있다. 소설로 인정받기 위해선 이야기 내에 갈등이 잘 드러나야 하는데, <최치원>은 <금오신화>에 비해 그 정도가 미약하다. 왜냐하면 <금오신화> 중 '만복사저포기'를 보면 양생과 여인은 서로 사랑하는데 있어 양생은 살아있는 인간이고 여인은 죽은 존재라는 이유로 계속 운명과 갈등을 빚고 있다. 반면, <최치원>은 그저 최치원이 관에 놀러갔다가 쌍녀분의 석문에다 시를 써주는 것을 계기로 죽은 여인들을 만나 하룻밤 인연을 맺고 다시 삶을 살아간다. 소설이라면 갖춰야 할 갈등이라는 요소가 딱히 보이지 않는 것이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5.00MB
파일 크기 제한 : 5.00MB (허용 확장자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발제 3]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최종) 1 하늘지기 2014.12.06 470
공지 [발제 2] 우정우 용 추가 논문 하늘지기 2014.11.30 653
공지 [발제 2]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추가될 예정임) 2 하늘지기 2014.11.30 414
공지 허접 발제문 [판소리사의 전개] 하늘지기 2014.11.26 389
공지 [발제] 대상 논문 및 발제자 하늘지기 2014.10.10 528
공지 [읽기 자료] 김현감호 하늘지기 2014.09.14 781
공지 독서 후기 올리는 방법 하늘지기 2014.09.14 637
공지 [읽기 자료] 최치원 (자료를 교체했습니다) 2 하늘지기 2014.09.13 968
공지 [읽기 자료] 조신 하늘지기 2014.09.13 571
공지 [읽기 자료] 금오신화 국역 4 하늘지기 2002.05.13 4867
93 가사발생론 발표문입니다^^ 1 강신용 2012.12.03 1994
92 영웅문학의 범위와 한계 입니다. 08양세호 2012.12.05 2434
91 몽유록의 장르 규정 문제 발표문입니다 정휴상 2012.12.06 1146
90 헌화가 배경해설에 대한 견해 발표문입니다. 심선미 2012.12.06 2732
89 [기말고사 대신] 발표문 수정해서 제출하기 13 하늘지기 2012.12.08 2263
88 [강신용 - 가사문학 발생론에 대하여]에 대한 지정 토론 5 하늘지기 2012.12.08 2064
87 주제 바꿨어요~ 1 박미현 2012.12.10 2257
86 고려 처용가의 전승과 해석입니다! 1 박미현 2012.12.19 2682
85 ============ 여기서부터 2013년 2학기 ============ 하늘지기 2013.09.11 369
84 [읽기 자료] 첫 번째 논문 : 소설의 개념과 고소설 용어 (첨부했음) 하늘지기 2013.09.11 491
83 [읽기 자료] 두 번째 논문 : 동아시아 서사문학의 지평과 나말여초 서사문학 하늘지기 2013.09.15 632
82 미리 읽기 / 개별 발표 하늘지기 2013.09.16 710
81 [읽기 자료] 세 번째 논문 : 고려가요의 다양한 모습 (파일 있음) 하늘지기 2013.10.04 726
80 [읽기 자료] 네 번째 논문 : 조선전기 시가문학의 동향 (시조, 가사) 하늘지기 2013.10.04 642
79 [읽기 자료] 다섯 번째 이후 논문들 하늘지기 2013.10.21 654
78 개인 발표 주제를 적어 주세요 16 하늘지기 2013.11.14 1263
77 개별 발표 일정 (지정토론 신청해 주세요) 4 하늘지기 2013.11.28 1453
76 고전문학사의 쟁점 발제문입니다. 10 신인철 2013.12.01 425
75 고전문학사의 쟁점 발제문입니다. 강보성? 2013.12.04 437
74 고전문학사의 쟁점 발표문입니다. 홍길동전 작자시비. 09 최경민 2013.12.05 59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Gogong.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