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최치원 후기

by 10김수영 posted Sep 2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설이란 무엇일까? 24년동안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이라고 알려졌던 금오신화로 배워왔다. 최치원과 만복사저포기 두 작품 모두 하룻밤 혼과 만난 이야기를 다루며 최치원과 이생규장전 두 작품 모두 한시를 통해 인물간의 대화가 이루어 지는 공통점이 잘 보인다. 소설의 정의는 이광수의 [문학이란하오]에서 잘 설명되어 있지만 근대 이후 접한 소설의 내용과 형식이 다양하여 '소설이란 이런 것이다'라고 딱 부러지게 정의하기 힘들다. 그저 막연히 '허구로 된 문학' 이라는 것으로 소설로 볼 수 있다면 왜 한국 최초의 소설은 [최치원]이 아닌 [금오신화]가 된 것일지 궁금하다. 한국 최초의 소설로 정의한 이(혹은 단체)는 어떤 기준으로 소설을 정의하였고 소설의 기준으로 왜 [최치원]이 아닌 [금오신화]가 한국 최초의 소설이 되었을까?   

문서 첨부 제한 : 0Byte/ 5.00MB
파일 크기 제한 : 5.00MB (허용 확장자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발제 3]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최종) 1 하늘지기 2014.12.06 470
공지 [발제 2] 우정우 용 추가 논문 하늘지기 2014.11.30 653
공지 [발제 2]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추가될 예정임) 2 하늘지기 2014.11.30 414
공지 허접 발제문 [판소리사의 전개] 하늘지기 2014.11.26 389
공지 [발제] 대상 논문 및 발제자 하늘지기 2014.10.10 528
공지 [읽기 자료] 김현감호 하늘지기 2014.09.14 781
공지 독서 후기 올리는 방법 하늘지기 2014.09.14 637
공지 [읽기 자료] 최치원 (자료를 교체했습니다) 2 하늘지기 2014.09.13 968
공지 [읽기 자료] 조신 하늘지기 2014.09.13 571
공지 [읽기 자료] 금오신화 국역 4 하늘지기 2002.05.13 4867
53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 2013260136 정보경 13정보경 2014.09.14 207
52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2012260004 김혜리 김혜리 2014.09.15 240
51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_ 유수원 수원 2014.09.14 244
50 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 후기 김은희 2014.09.14 415
49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 후기입니다. 장우호 2014.09.15 489
48 몽유록의 장르 규정 문제 발표문입니다 정휴상 2012.12.06 1146
47 무신란이 문학사에 끼친 영향 미현 2012.11.21 2934
46 미리 읽기 / 개별 발표 하늘지기 2013.09.16 710
45 발제 대상 논문 목록 (분담 및 일정) 36 하늘지기 2012.09.09 3049
44 서대석 선생님 논문 1 하늘지기 2012.11.14 2407
43 서동요의 해석과 해독의 관점 발표문입니다. 유영찬 2012.11.20 2620
42 서편제 리뷰 2011260049 우정우 2011260049우정우 2014.10.31 151
41 서편제 후기 08 김조은 2014.10.31 125
40 서편제 후기 11 김은희 2014.11.01 103
39 서편제 후기 장우호 2014.11.04 213
38 서편제 후기 10임지식 2014.11.04 270
37 서편제 후기 신다영 2014.11.05 289
36 서편제 후기 10김수영 2014.11.05 194
35 서편제 후기 2013260136정보경 2014.11.07 174
34 서편제 후기 - 2012260004 김혜리 김혜리 2014.11.03 18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Gogong.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