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0260156 임지식 최치원전 후기

by 10임지식 posted Sep 2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치원전


 최치원전을 읽고 나서 든 생각은 두 가지였다. 첫째는 최치원의 실화가 아님에도 최치원의 이름을 빌려 이야기의 제목으로 정했는지에 대한 의문이다. 최치원의 이름을 넣어 이야기를 지은 것은 단순히 생각해서 최치원의 문장력이나 다른 위대한 점을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김시습의 <금오신화>에서처럼 자신의 문장력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런 가능성을 적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최치원의 문장력을 과시하는 것이나 신세를 한탄하는 모습은 쌍녀분에서 만나게 된 자매귀신과 시를 주고 받은 뒤 셋이서 베개를 나란히 하고 정을 나누는 이야기가 아니라 다른 이야기로도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미 귀신이 나오는 전기적 설정으로 보아 <금오신화>에서처럼 절대적인 존재에게 문장력을 칭찬 받거나 다른이들로부터 자신의 작시 능력을 인정받는 등의 모습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자매귀신 두 명과 동시에 정을 나누는 식의 설정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최치원을 이야기의 제목으로 삼은 이유는 단순히 최치원이라는 통일 신라기 천재 문장가, 학자로 불리었던 최치원의 명성을 갖다 쓴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설화는 이야기를 지은 작가가 미상으로 남을 정도로 유명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이야기의 주인공을 유명한 사람으로 설정함으로써 나름의 유명세를 타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둘째는 김시습의 <금오신화>와의 관계이다. <최치원전>의 지은이는 누구인지 알 수 없지만, 창작 연대는 고려 초기나 중기로 보고 있다. 김시습의 <금오신화>의 창작 연대는 조선 전기이다. <금오신화>가 최치원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는지는 모르지만 둘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전기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것이다. <최치원전>에는 절대자나 가상세계가 나오지는 않지만 귀신과 시를 주고 받거나 정을 나누는 것이 <금오신화>와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통점은 <최치원전>이 창작된 후 시간이 지나면서 굳어진 하나의 유형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런 공통적인 점이 느껴지는 까닭은 과거 천재 문장가라 꼽을 수 있는 최치원과 김시습 두 인물이 가진 공통적인 속성 때문이 아닐까도 생각을 해 본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5.00MB
파일 크기 제한 : 5.00MB (허용 확장자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발제 3]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최종) 1 하늘지기 2014.12.06 487
공지 [발제 2] 우정우 용 추가 논문 하늘지기 2014.11.30 679
공지 [발제 2]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추가될 예정임) 2 하늘지기 2014.11.30 432
공지 허접 발제문 [판소리사의 전개] 하늘지기 2014.11.26 415
공지 [발제] 대상 논문 및 발제자 하늘지기 2014.10.10 551
공지 [읽기 자료] 김현감호 하늘지기 2014.09.14 803
공지 독서 후기 올리는 방법 하늘지기 2014.09.14 670
공지 [읽기 자료] 최치원 (자료를 교체했습니다) 2 하늘지기 2014.09.13 993
공지 [읽기 자료] 조신 하늘지기 2014.09.13 589
공지 [읽기 자료] 금오신화 국역 4 하늘지기 2002.05.13 4893
112 춘향전 근원설화의 연구사와 쟁점 김종효 2012.11.22 4418
111 김시습의 문학사적 위상 발표문입니다 김승우 2012.11.29 3395
110 (수정) 한림별곡에 관한 여러 견해들에 대한 발표문 입니다. 1 주욱현 2012.11.22 3245
109 발제 대상 논문 목록 (분담 및 일정) 36 하늘지기 2012.09.09 3059
108 무신란이 문학사에 끼친 영향 미현 2012.11.21 2941
107 헌화가 배경해설에 대한 견해 발표문입니다. 심선미 2012.12.06 2742
106 고려 처용가의 전승과 해석입니다! 1 박미현 2012.12.19 2688
105 『홍길동전』의 작자시비 입니다. 김성국 2012.11.26 2680
104 서동요의 해석과 해독의 관점 발표문입니다. 유영찬 2012.11.20 2630
103 [확인 바람] 개별 발표 일정 및 주제 23 하늘지기 2012.10.31 2587
102 영웅문학의 범위와 한계 입니다. 08양세호 2012.12.05 2449
101 서대석 선생님 논문 1 하늘지기 2012.11.14 2417
100 주제 바꿨어요~ 1 박미현 2012.12.10 2282
99 [기말고사 대신] 발표문 수정해서 제출하기 13 하늘지기 2012.12.08 2281
98 '무신란이 문학사에 끼친 영향' 발표문 수정본입니다. 미현 2012.11.23 2257
97 최치원의 장르문제입니다. 1 김병수09 2012.11.27 2202
96 이보형-광대02 심선미 2012.11.12 2201
95 홍길동전 작자시비(오타수정)!!! 2 이진숙 2012.11.29 2185
94 05김동광입니다 (수정) 05김동광 2012.11.27 208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Gogong.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