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0260156 임지식 최치원전 후기

by 10임지식 posted Sep 2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치원전


 최치원전을 읽고 나서 든 생각은 두 가지였다. 첫째는 최치원의 실화가 아님에도 최치원의 이름을 빌려 이야기의 제목으로 정했는지에 대한 의문이다. 최치원의 이름을 넣어 이야기를 지은 것은 단순히 생각해서 최치원의 문장력이나 다른 위대한 점을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김시습의 <금오신화>에서처럼 자신의 문장력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런 가능성을 적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최치원의 문장력을 과시하는 것이나 신세를 한탄하는 모습은 쌍녀분에서 만나게 된 자매귀신과 시를 주고 받은 뒤 셋이서 베개를 나란히 하고 정을 나누는 이야기가 아니라 다른 이야기로도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미 귀신이 나오는 전기적 설정으로 보아 <금오신화>에서처럼 절대적인 존재에게 문장력을 칭찬 받거나 다른이들로부터 자신의 작시 능력을 인정받는 등의 모습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자매귀신 두 명과 동시에 정을 나누는 식의 설정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최치원을 이야기의 제목으로 삼은 이유는 단순히 최치원이라는 통일 신라기 천재 문장가, 학자로 불리었던 최치원의 명성을 갖다 쓴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설화는 이야기를 지은 작가가 미상으로 남을 정도로 유명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이야기의 주인공을 유명한 사람으로 설정함으로써 나름의 유명세를 타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둘째는 김시습의 <금오신화>와의 관계이다. <최치원전>의 지은이는 누구인지 알 수 없지만, 창작 연대는 고려 초기나 중기로 보고 있다. 김시습의 <금오신화>의 창작 연대는 조선 전기이다. <금오신화>가 최치원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는지는 모르지만 둘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전기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것이다. <최치원전>에는 절대자나 가상세계가 나오지는 않지만 귀신과 시를 주고 받거나 정을 나누는 것이 <금오신화>와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통점은 <최치원전>이 창작된 후 시간이 지나면서 굳어진 하나의 유형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런 공통적인 점이 느껴지는 까닭은 과거 천재 문장가라 꼽을 수 있는 최치원과 김시습 두 인물이 가진 공통적인 속성 때문이 아닐까도 생각을 해 본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5.00MB
파일 크기 제한 : 5.00MB (허용 확장자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발제 3]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최종) 1 하늘지기 2014.12.06 470
공지 [발제 2] 우정우 용 추가 논문 하늘지기 2014.11.30 653
공지 [발제 2]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추가될 예정임) 2 하늘지기 2014.11.30 414
공지 허접 발제문 [판소리사의 전개] 하늘지기 2014.11.26 389
공지 [발제] 대상 논문 및 발제자 하늘지기 2014.10.10 528
공지 [읽기 자료] 김현감호 하늘지기 2014.09.14 781
공지 독서 후기 올리는 방법 하늘지기 2014.09.14 637
공지 [읽기 자료] 최치원 (자료를 교체했습니다) 2 하늘지기 2014.09.13 968
공지 [읽기 자료] 조신 하늘지기 2014.09.13 571
공지 [읽기 자료] 금오신화 국역 4 하늘지기 2002.05.13 4867
48 고전문학사의 쟁점 발표문입니다! 안수영 2013.12.11 473
47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11김동훈 2014.09.15 481
46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 후기입니다. 장우호 2014.09.15 489
45 [읽기 자료] 첫 번째 논문 : 소설의 개념과 고소설 용어 (첨부했음) 하늘지기 2013.09.11 491
44 판소리의 유래 10임지식 2014.11.25 503
43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리뷰 3 11김동훈 2014.09.14 516
42 판소리의 시초 생각하기 11김동훈 2014.11.26 561
41 고전문학사의 쟁점 발표문입니다. 홍길동전 작자시비. 09 최경민 2013.12.05 597
40 [모두 의견 주세요] 보강에 대하여 8 하늘지기 2012.11.02 630
39 [읽기 자료] 두 번째 논문 : 동아시아 서사문학의 지평과 나말여초 서사문학 하늘지기 2013.09.15 632
38 [읽기 자료] 네 번째 논문 : 조선전기 시가문학의 동향 (시조, 가사) 하늘지기 2013.10.04 642
37 [읽기 자료] 다섯 번째 이후 논문들 하늘지기 2013.10.21 654
36 미리 읽기 / 개별 발표 하늘지기 2013.09.16 710
35 고전문학사의 쟁점 발제문입니다. 허지이 2013.12.06 714
34 [읽기 자료] 세 번째 논문 : 고려가요의 다양한 모습 (파일 있음) 하늘지기 2013.10.04 7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Gogong.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