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by 11김동훈 posted Sep 15,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만복사저포기

 

  고전 관련 수업을 들으며 제목에 대한 풀이를 들은 적이 있다만복사라는 절에서 저포놀이를 하여 벌어지는 이야기라는 뜻이었다이생규장전과 마찬가지로 정직한 제목이다주인공 양생은 죽은 여인과 만나 사랑에 빠지고 헤어지기까지의 이야기를 담았는데 기승전결이 뚜렷하고 개연성있는 전개, 저포놀이를 하여 만나게 된다는 운명적인 등장, 양생만이 볼 수 있는 여인이라는 특징 등 소설의 정의를 따르는 작품이라 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그 외에 내용 자체에 대한 감상으로는, 불교의 윤회관을 따른다는 것, 중간중간 등장인물이 시가를 읊음으로써 감정을 표현하고 속내를 내비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생이 여인이 떠난 후 아무도 만나지 않고 늙어, 끝내 아무도 알지 못하게 되었다는 대목은 인상적이었다. 

 

이생규장전

 

  이생과 최랑이 춘화의 한바탕 꿈같은 만남으로 사랑에 빠져 달밤에 만나기를 지속하다 양가 부모가 알게되어 멀리떨어져 슬퍼한다. 여기까지는 풋풋한 도령과 소녀의 사랑이야기이지만 왜적이 침입해 최랑과 그녀의 가족이 몰살당한다. 이생은 만복사저포기의 양생처럼 귀신이 된 최랑을 만나고 몇 년간 정을 나누다 최랑은 떠나간다.

 

  이생규장전에선 위의 소설과 마찬가지로 귀신의 존재를 현실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님과 만나기 위해 하늘의 뜻으로 인간 세상에 머무른다는 설정을 따른다. 등장인물 이생이라는 이름은 성씨+유생을 합친 말로 금오신화의 작품에서 일관성을 가진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양생처럼 떠나간 님(귀신)을 잊지 못한다는 점, 귀신이 된 여인들 모두 절개를 지키려했다는 점이 공통점으로 생각된다.

 


다시 올려요ㅜ


Articles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