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2260109 김자현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by 12김자현 posted Sep 1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만복사저포기
고전소설 중에서도 만복사저포기는 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작품이다. 향을 꽂는 것과 부처님께 기도를 드리는 것, 그리고 마지막에 나오는 윤회사상까지, 주인공 양생과 여인은 부처님이 맺어주신 인연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면 부처님은 왜 양생을 난리 때 죽은 여인과 맺어 준 것일까? 양생은 무엇에 홀릿 듯 여인을 좋아하게 되고, 이는 귀신에 홀리는 것 같아 보인다. 여인의 이름을 따로 정해주지 않고 여인이라 부르는 것도 여인이 실제하는 존재가 아니라 허상이라는 점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부처는 양생에게 깨달음을 주기 위해 여인을 보낸 것이라 생각한다. 얼토당토 않는 내기를 건 것에 대한 꾸지람과 또한 진실된 마음을 양생에게 가르쳐 준 것이다. 양생은 진정한 사랑을 깨닫고 죽은 여인의 혼을 위로하며 지리산에서 약초를 캐며 살지 않았을까? 여인이 죽기는 했지만, 양생은 여인을 통해, 진정한 사랑을 알았으며 여인은 남자도 한 번 만나보지 못하고 처녀로 죽을 뻔 했지만 양생을 만나 한을 풀게 된다. 또한 믿기는 힘들지만 양생의 도움으로 환생을 하여 남자가 되었다고 하니, 이는 완벽한 새드엔딩으로 보기는 힘들지 않나 생각된다.


이생규장전
이생은 담 넘어 보이는 최랑의 모습에 마음이 뺏겨 편지를 보내고 이를 본 최랑은 기뻐한다. 마음이 통한 이생은 담을 넘어 최랑을 만나고 누각 안 다락에서 사랑을 나눈다. 여기서 조금 놀라운 것은 이생이 먼저 정을 나누자고 하는 것이 아닌 적극적으로 최랑이 이생을 유혹한다는 점이다. 누각 안 다락으로 이생을 데려가는 것도 최랑이기 때문이다. 최랑의 이 당돌한 행동은 당시 여인들에게서는 보기 힘들었던 것이 아니었을 까? 이 점에서 김시습의 열린 사고가 돋보인다. 물론 최랑을 열녀로 표현 한 것에서 당대 유교적인 사상이 들어나긴 하지만 말이다. 또 시와 그림이 있는 다락이 인상적이었다. 다락에는 사계절의 경치를 읊은 시 네수가 나온다. 이 네 수의 시에 나오는 원앙새와 제비, 꽃 들이 마치 이생과 최랑을 비유하는 것 같은 느낌도 든다. 최랑의 죽음으로 들은 헤어지게 되고, 최랑을 따라 이생도 죽게 되는 새드엔딩으로 극이 끝이 나는 데, 이 점은 주로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고전소설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5.00MB
파일 크기 제한 : 5.00MB (허용 확장자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발제 3]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최종) 1 하늘지기 2014.12.06 501
공지 [발제 2] 우정우 용 추가 논문 하늘지기 2014.11.30 695
공지 [발제 2]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추가될 예정임) 2 하늘지기 2014.11.30 447
공지 허접 발제문 [판소리사의 전개] 하늘지기 2014.11.26 443
공지 [발제] 대상 논문 및 발제자 하늘지기 2014.10.10 576
공지 [읽기 자료] 김현감호 하늘지기 2014.09.14 829
공지 독서 후기 올리는 방법 하늘지기 2014.09.14 690
공지 [읽기 자료] 최치원 (자료를 교체했습니다) 2 하늘지기 2014.09.13 1012
공지 [읽기 자료] 조신 하늘지기 2014.09.13 601
공지 [읽기 자료] 금오신화 국역 4 하늘지기 2002.05.13 4909
109 '무신란이 문학사에 끼친 영향' 발표문 수정본입니다. 미현 2012.11.23 2267
108 '최치원' 후기 - 2013260136 정보경 13정보경 2014.09.25 268
107 (수정) 한림별곡에 관한 여러 견해들에 대한 발표문 입니다. 1 주욱현 2012.11.22 3253
106 05김동광입니다 (수정) 05김동광 2012.11.27 2095
105 2010260156 임지식 최치원전 후기 10임지식 2014.09.24 344
104 2010260157 임지식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입니다. 10임지식 2014.09.24 221
103 2011260049 우정우 '최치원' 후기 2011260049우정우 2014.09.20 348
102 2011260049우정우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2011260049우정우 2014.09.14 904
» 2012260109 김자현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12김자현 2014.09.14 380
100 2012260109 김자현 최치원 후기 12김자현 2014.09.23 265
99 <최치원> 후기 12이혜원 2014.09.24 245
98 ============ 여기서부터 2013년 2학기 ============ 하늘지기 2013.09.11 380
97 [강신용 - 가사문학 발생론에 대하여]에 대한 지정 토론 5 하늘지기 2012.12.08 2080
96 [기말고사 대신] 발표문 수정해서 제출하기 13 하늘지기 2012.12.08 2295
95 [모두 의견 주세요] 보강에 대하여 8 하늘지기 2012.11.02 646
94 [익명 토론] 중간고사 어떻게 할 것인가? 12 anonymous 2012.10.12 9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Gogong.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