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260109 김자현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by 12김자현 posted Sep 1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만복사저포기
고전소설 중에서도 만복사저포기는 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작품이다. 향을 꽂는 것과 부처님께 기도를 드리는 것, 그리고 마지막에 나오는 윤회사상까지, 주인공 양생과 여인은 부처님이 맺어주신 인연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면 부처님은 왜 양생을 난리 때 죽은 여인과 맺어 준 것일까? 양생은 무엇에 홀릿 듯 여인을 좋아하게 되고, 이는 귀신에 홀리는 것 같아 보인다. 여인의 이름을 따로 정해주지 않고 여인이라 부르는 것도 여인이 실제하는 존재가 아니라 허상이라는 점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부처는 양생에게 깨달음을 주기 위해 여인을 보낸 것이라 생각한다. 얼토당토 않는 내기를 건 것에 대한 꾸지람과 또한 진실된 마음을 양생에게 가르쳐 준 것이다. 양생은 진정한 사랑을 깨닫고 죽은 여인의 혼을 위로하며 지리산에서 약초를 캐며 살지 않았을까? 여인이 죽기는 했지만, 양생은 여인을 통해, 진정한 사랑을 알았으며 여인은 남자도 한 번 만나보지 못하고 처녀로 죽을 뻔 했지만 양생을 만나 한을 풀게 된다. 또한 믿기는 힘들지만 양생의 도움으로 환생을 하여 남자가 되었다고 하니, 이는 완벽한 새드엔딩으로 보기는 힘들지 않나 생각된다.


이생규장전
이생은 담 넘어 보이는 최랑의 모습에 마음이 뺏겨 편지를 보내고 이를 본 최랑은 기뻐한다. 마음이 통한 이생은 담을 넘어 최랑을 만나고 누각 안 다락에서 사랑을 나눈다. 여기서 조금 놀라운 것은 이생이 먼저 정을 나누자고 하는 것이 아닌 적극적으로 최랑이 이생을 유혹한다는 점이다. 누각 안 다락으로 이생을 데려가는 것도 최랑이기 때문이다. 최랑의 이 당돌한 행동은 당시 여인들에게서는 보기 힘들었던 것이 아니었을 까? 이 점에서 김시습의 열린 사고가 돋보인다. 물론 최랑을 열녀로 표현 한 것에서 당대 유교적인 사상이 들어나긴 하지만 말이다. 또 시와 그림이 있는 다락이 인상적이었다. 다락에는 사계절의 경치를 읊은 시 네수가 나온다. 이 네 수의 시에 나오는 원앙새와 제비, 꽃 들이 마치 이생과 최랑을 비유하는 것 같은 느낌도 든다. 최랑의 죽음으로 들은 헤어지게 되고, 최랑을 따라 이생도 죽게 되는 새드엔딩으로 극이 끝이 나는 데, 이 점은 주로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고전소설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