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자료] 다섯 번째 이후 논문들

by 하늘지기 posted Oct 21,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진하게 밑줄 그은 것이 검토 대상 논문입니다

논문 제목 옆에 첨부파일을 링크합니다



5. 16, 17세기 소설사의 새로운 면모 (고전소설의 현실성과 낭만성)

# 정출헌, 「고전소설에서의 현실주의 논의 검토」, 『민족문학사연구』 2, 창작과 비평사, 1992.  정출헌_현실주의.pdf

참고 : 박희병, 「17세기 동아시아의 전란과 민중의 삶 - 김영철전의 분석」, 『민족사의 전개와 그 문화』 상, 창작과 비평사, 1990.



6. 조선후기 시가문학의 분화

# 고미숙, 「Ⅴ. 19세기 시조의 예술사적 의미」, 『19세기 시조의 예술사적 의미』 , 태학사, 1998, 285~307쪽.  고미숙_19세기시조.pdf



7. 여성문학의 전개와 여성의 목소리

# 이지하, 18,9세기 여성중심적 소설과 여성인식의 다층적 면모 -국문장편소설과 여성영웅소설의 여주인공 형상화 비교, 고소설연구, 한국고소설학회, 2011.  이지하_여주인공.pdf

참고 : 한길연, 장편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어머니의 존재방식과 모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길연_어머니.pdf



8. 판소리의 성립과 판소리계 소설의 확산

# 이태화, 판소리 연구사 전개의 몇 가지 쟁점  판소리사의전개.hwp

** 기본적으로는 8쪽까지만 읽으면 됩니다. 하지만 원한다면 그 이후의 내용에 대해 질문지를 작성해도 됩니다. 파일을 자르지 않고 그대로 첨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