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모두 의견 주세요] 보강에 대하여

by 하늘지기 posted Nov 02,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업 시간에도 말했던 바와 같이

발제 한 타이밍을 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다음 주 수요일 공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그게 불가능하면 금요일에 논문 세 편(발제 6명)을 진행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런데 아까 끝나고 나오면서 성국이였던가...가 하는 말을 들으니

그리고 내가 생각하기에도

오늘처럼(지난 주에도 그랬던 것 같고) 논문을 요약하느라고 진을 다 빼는 스타일이 아니라면

세 시간에 모두 소화하는 게 어렵지는 않을 것 같네요


발제를 그런 식으로 하는 거 사실, 진작에 바로 잡았어야 하는 건데

열심히 준비하는 정성을 생각해서 그냥 두었더니 이상한 모양이 되어 버렸네요

사실 원래는

매 논문마다 모든 수강생이 질문 세 개씩을 적은 쪽지를 만들어 오는 형식으로 하려고 했었는데, 아침 수업이라서 무리가 될까봐 그렇게 하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니 최소한 논문을 읽고는 들어오세요


암튼,

지금부터 공지합니다


1. 어지간하면 금요일에 논문 세 편을 끝내는 걸로 할 생각이니, 이견이 있으면 댓글로 말해주세요

2. 이제부터라도 발제문은 논문 요약을 최소화하고 문제제기 위주로 작성하기 바랍니다

    (논문을 읽은 대부분의 사람이 쉽게 공감할 만한 내용은 그냥 언급만 하고 넘기는 것입니다. 그럼 2~3장밖에 안 나올 걸요?)

3. 해당 논문을 꼭 읽어 오세요 (그래야 2번과 조화롭게 됩니다)

4. 개별 발표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섯 장을 넘기지 않는 수준으로 계획하세요

문서 첨부 제한 : 0Byte/ 5.00MB
파일 크기 제한 : 5.00MB (허용 확장자 : *.*)
  • profile
    하늘지기 2012.11.03 00:00 (*.96.117.243)

    참고로 수요일 저의 공강은, 아니 수업이 있는 시간은 3, 8교시 뿐입니다

  • ?
    김종효 2012.11.03 04:17 (*.247.75.231)

    저의 수업 시간은  12시 부터 3시 입니다~

  • ?
    정휴상 2012.11.04 04:12 (*.239.112.29)
    금요일까지 바쁘겠내요^_^
    금요일에 논문 세 편하는 것 좋아요b
  • ?
    이진숙 2012.11.04 23:10 (*.252.187.147)

    수요일 공강시간: 2-3교시와 6교시 입니다!

  • ?
    박미현 2012.11.05 18:59 (*.183.180.19)

    선생님...논문 꼭 읽어 갈게요~~~~~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
    김병수09 2012.11.06 16:01 (*.152.231.4)

    수요일  1~3, 6~8교시 공강입니다

  • ?
    유영찬 2012.11.06 19:59 (*.247.91.199)

    수요일 1-3교시 6-7공강입니다

  • profile
    하늘지기 2012.11.06 20:52 (*.96.117.243)

    수요일 공강은 얘기할 필요없습니다. 금요일에 일단 여섯 명이 발제하는 걸로 결정했으니까요

    안 되면, 남는 건 다음 주로 밀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발제 3]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최종) 1 하늘지기 2014.12.06 470
공지 [발제 2] 우정우 용 추가 논문 하늘지기 2014.11.30 653
공지 [발제 2]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추가될 예정임) 2 하늘지기 2014.11.30 414
공지 허접 발제문 [판소리사의 전개] 하늘지기 2014.11.26 389
공지 [발제] 대상 논문 및 발제자 하늘지기 2014.10.10 528
공지 [읽기 자료] 김현감호 하늘지기 2014.09.14 781
공지 독서 후기 올리는 방법 하늘지기 2014.09.14 637
공지 [읽기 자료] 최치원 (자료를 교체했습니다) 2 하늘지기 2014.09.13 968
공지 [읽기 자료] 조신 하늘지기 2014.09.13 571
공지 [읽기 자료] 금오신화 국역 4 하늘지기 2002.05.13 4867
69 [읽기 자료] 두 번째 논문 : 동아시아 서사문학의 지평과 나말여초 서사문학 하늘지기 2013.09.15 632
» [모두 의견 주세요] 보강에 대하여 8 하늘지기 2012.11.02 630
67 고전문학사의 쟁점 발표문입니다. 홍길동전 작자시비. 09 최경민 2013.12.05 597
66 판소리의 시초 생각하기 11김동훈 2014.11.26 561
65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리뷰 3 11김동훈 2014.09.14 516
64 판소리의 유래 10임지식 2014.11.25 503
63 [읽기 자료] 첫 번째 논문 : 소설의 개념과 고소설 용어 (첨부했음) 하늘지기 2013.09.11 491
62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 후기입니다. 장우호 2014.09.15 489
61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11김동훈 2014.09.15 481
60 고전문학사의 쟁점 발표문입니다! 안수영 2013.12.11 473
59 고전문학사의 쟁점 발표문 - <구지가>의 성격과 해석 09 김예진 2013.12.12 462
58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후기 신다영 2014.09.15 441
57 고전 문학사의 쟁점 발제문입니다. 오한별 2013.12.16 439
56 고전문학사의 쟁점 발제문입니다. 강보성? 2013.12.04 437
55 고전문학사의 쟁점 발제문입니다. 10 신인철 2013.12.01 425
54 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 후기 김은희 2014.09.14 4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Gogong.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