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익명 토론] 중간고사 어떻게 할 것인가?

by anonymous posted Oct 12,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테스트 해본 결과, 익명으로 설정했다가 실명으로 바꾸어도 다시 실명으로 돌아오지는 않더군요

그러니 마음껏 얘기하시면 됩니다

물론 욕을 하면 아이피 추척 들어갑니다



일단 기본적으로는 두 가지 안이 있습니다

고민은, 26일에 제가 학회에 가야 해서 수업에 올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한 것입니다


1) 강명관 선생님의 글을 대상으로 중간고사를 본다

2) 중간고사 안 보고 발제 행진을 계속한다 (이렇게 되든 안 되든 욱현이는 세호의 논문 한 편을 맡는다)


의견을 좀 들어보고 나서 내 생각을 얘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대세가 감지되면 내 의견을 안 내는 방향으로 하려고요

문서 첨부 제한 : 0Byte/ 5.00MB
파일 크기 제한 : 5.00MB (허용 확장자 : *.*)
  • ?
    anonymous 2012.10.12 13:08 (*.152.214.69)

    익명 설정

    이렇게 나타나게 됩니다

  • ?
    anonymous 2012.10.12 17:15 (*.192.40.211)

    이거 두가지 방법 말고 다른 건 없나요?

  • ?
    anonymous 2012.10.12 19:08 (*.152.231.2)

    발제자분들만 괜찮다면 2번이 끌리지만 ..그럼 너무 가혹한것 같아서..1번으로..

    대신에 시험출제 범위를 줄여주시거나 어느방향으로 낼지 알려주시면 참 좋을것같아요^^

    그냥 개인적인 의견이었습니다ㅋㅋ

  • ?
    anonymous 2012.10.12 20:56 (*.247.75.231)

    발제자 이지만 시험보단 발제가 낫겟다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ㅎ

  • ?
    anonymous 2012.10.12 21:12 (*.192.40.211)

    발제자분들만 괜찮으면 발제가 괜찮을거 같아요^^

  • ?
    anonymous 2012.10.12 21:36 (*.117.252.176)

    시험은 대부분의 수강생이 부담스러워하는 것 같고, 19일에 발제를 하는것은 발제자 입장에서 보면 사실상 기한에 대한 부담이 클 것으로 생각됩니다. 26일에 수강생끼리 발제를 진행하고  나오는 질문에 대해 이야기를 해본 뒤 종합적인 정리를 홈페이지를 이용해 선생님께서 해주시는 것은 어떨까 싶습니다. 혹은 선생님께서 괜찮으시다면 11월중에 보강을 해주시는 것은 어떨지요?

  • ?
    anonymous 2012.10.13 02:29 (*.183.180.91)
    사실 시험이 가장 무난하다고 생각하구요...
    그게 모두에게 같은 상황 설정이라고 생각하는데...
  • ?
    anonymous 2012.10.13 04:48 (*.114.34.89)

    그냥 시험을 보는 것이 좋을 것같습니다.

  • ?
    anonymous 2012.10.13 12:34 (*.252.210.211)
    대략 시험이 좋겠다는 흐름이군요
    오늘밤 안에 결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26일에는 미션을 드리겠습니다
    발제가 모두 끝나면 개별 발표를 진행할텐데요
    쟁점들을 다루어야 하기 때문에 분량보다는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토론하는 것에 중점을 둘 것입니다 (저도 가급적 입을 닫고 돌아가면서 토론 사회를 보는 형식)
    26일까지 각자가 어떤 쟁점에 대해 발표할 것인지 결정해주세요
    그러려면 자료들을 좀 훑어봐야겠죠?
    기본 참고 자료로는 우리 주교재랑 요 아래에 비밀로 올려놓은 파일, 그리고 당신의 냉철한 안목
    쟁점이 되는 문제에 괸해서 자신이 지지하는 쪽의 근거를 보여주는 식이면 적절하겠죠
    주제는 다소 겹쳐도 됩니다
  • ?
    anonymous 2012.10.14 14:56 (*.96.117.243)

    중간고사도 안 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래 중간고사란 것의 필요성을 별로 못 느끼는 편인데, 이번엔 다들 알다시피 좀 즉흥적으로 정한 감이 있었죠

    다른 수업들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전반적으로 고생을 시키는 편인 것 같아서, 시험은 기말에만 화끈하게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신 시험기간 끝나고 독서 많이 해서 26일까지 주제 확정하도록 합시다

    26일에는 못 만나지만 27일에는 만날 수 있네요. 확정 못한 사람은 그때 갈구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주(욱현)님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대학생들이 작은 거 뭐 하나 펑크났다고 해서 아예 손을 놓아버리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전혀 그럴 필요없습니다. 큰 차이 아닙니다

  • ?
    anonymous 2012.10.18 17:00 (*.117.242.22)

    그러면.. 19일 26일 두번 다 모이지 않고 27일에 수업이에요??

  • ?
    anonymous 2012.10.18 21:29 (*.96.117.243)
    27일이 국문인의 밤이어서 만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19, 26일에 보지 않는 대신에 26일까지 개별 발표 주제를 선정하여 보고하세요. 지금 게시물 하나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발제 3]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최종) 1 하늘지기 2014.12.06 470
공지 [발제 2] 우정우 용 추가 논문 하늘지기 2014.11.30 653
공지 [발제 2] 대상 논문 및 발제자 (추가될 예정임) 2 하늘지기 2014.11.30 414
공지 허접 발제문 [판소리사의 전개] 하늘지기 2014.11.26 389
공지 [발제] 대상 논문 및 발제자 하늘지기 2014.10.10 528
공지 [읽기 자료] 김현감호 하늘지기 2014.09.14 781
공지 독서 후기 올리는 방법 하늘지기 2014.09.14 637
공지 [읽기 자료] 최치원 (자료를 교체했습니다) 2 하늘지기 2014.09.13 968
공지 [읽기 자료] 조신 하늘지기 2014.09.13 571
공지 [읽기 자료] 금오신화 국역 4 하늘지기 2002.05.13 4867
112 홍길동전 작자시비(오타수정)!!! 2 이진숙 2012.11.29 2173
111 헌화가 배경해설에 대한 견해 발표문입니다. 심선미 2012.12.06 2732
110 판소리의 유래 10임지식 2014.11.25 503
109 판소리의 시초 생각하기 11김동훈 2014.11.26 561
108 판소리의 시작에 대한 상상 10김수영 2014.11.26 260
107 판소리의 시작 상상해보기_ 유수원 수원 2014.11.25 298
106 판소리의 시작 상상해보기 12 이혜원 2014.11.25 236
105 판소리의 시작 -2013260136 정보경 정보경 2014.11.28 241
104 판소리 기원2011260049우정우 우정우 2014.11.25 229
103 판소리 기원 1 08 김조은 2014.11.25 246
102 판소리 김은희 2014.11.25 160
101 판소리 12신다영 2014.11.26 184
100 판소리 장우호 2014.11.26 146
99 판소리 12김자현 2014.11.28 133
98 춘향전 근원설화의 연구사와 쟁점 김종효 2012.11.22 4403
97 최치원후기_유수원 수원 2014.09.25 279
96 최치원전 후기 - 2012260004 김혜리 김혜리 2014.09.23 283
95 최치원전 후기 김은희 2014.09.24 367
94 최치원전 후기 08 김조은 2014.09.24 25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Gogong.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