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강신용2012.12.20 05:57

동광이형 연락이 잘 안돼서,,질문지 받았던 거 옮겨서 제가 달아 놓겠습니다;;

 

 

1. 가사의 갈래에 대한 근원에 앞서 논자는 가사문학을 정형시나 자유시, 혹은 다른 형식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지 궁금함.

토론자의 견해는 가사는 4음보격 연속체로서 비연시이다. 하지만 가사는 비연시 이면서 행의 수도 일정하지 아니하고 음보의 변화도 거의 없기 때문에 매우 단조롭다. 그리하여 4음보격의 음보를 가지고 있으나 행의 수가 일정하지 않다는 점에서 볼 때 가사는 '일정한 율격을 가진 자유시'라 보아야 함.

 

2. 중국 부()문학 기원설에서 체험적 언어를 나열한다는 잠만이 유사성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부 문학의 발달을 통하여 한문 문장의 수사기교와 음운의 해화(諧和:조화)가 한층 더 발달할 수 있었다고 평가된다. 다만 우리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부 문학이 크게 발달하지 못했다고 보는 것이 현재의 일반적 견해인데, 중국에서의 부는 운문 전반적으로 다양한 수사와 기교를 발전시킨 의의가 있다고 한다.

논자는 이러한 부 문학의 거시적인 측면으로써 기여를 토대로 가사에 영향을 준 점이 있다고 고려할 때, 체험적 언어를 나열한다는 것은 가사의 발생에 대하여 근원적이라 보긴 힘들지만 상당히 큰 영향을 준 것에 대한 질문자의 견해에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함.

 

3. 민요가 본래 3음보와 4음보의 혼합적 형태이며 4음보가 지배적이라 주장하는데, 4음보격의 민요가 상당수를 차지한다는 견해의 근거나 사고의 출발점이 궁금함.

문서 첨부 제한 : 0Byte/ 5.00MB
파일 크기 제한 : 5.00MB (허용 확장자 : *.*)

Gogong.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